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📜 명예훼손죄 vs 모욕죄: 고소당했을 때 대처법
    형사 법률정보 2025. 5. 16. 11:07

    🔍 1. 명예훼손죄와 모욕죄의 차이점

    명예훼손죄와 모욕죄는 인터넷이나 SNS에서 자주 문제가 되는 법적 이슈입니다. 하지만 두 개념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, 각각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✅ 명예훼손죄란?

    • 정의: 상대의 사회적 평가(명예)를 낮추는 발언을 했을 때 적용됨.
    • 예시:
    • “○○는 뒷광고를 했다. 증거도 있다.”
    • “○○는 땡땡 대학교 나왔는데, 인성이 별로였다.”
    • 주요 특징:
    • 사실이든 거짓이든 상대방의 사회적 가치를 훼손하면 처벌 가능.
    • 공적인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유포했을 때 적용됨.
    • 공익적인 목적이 인정될 경우 처벌되지 않을 수도 있음.

    ✅ 모욕죄란?

    • 정의: 상대에게 경멸감을 줄 만한 표현을 했을 때 적용됨.
    • 예시:
    • “○○는 쓰레기야.”
    • “○○는 인간 이하야.”
    • 주요 특징:
    •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상대를 모욕하는 표현이면 처벌 가능.
    • 온라인 댓글, SNS에서 욕설이나 조롱하는 글을 작성하면 성립 가능.
    • 모욕죄는 상대의 사회적 평가를 떨어뜨리려는 목적이 없어도 인정될 수 있음.

    🚨 2. 고소를 당했을 때 가장 흔한 실수

    1) 증거 삭제 시도

    • 고소를 당한 후, 본인이 남긴 게시물이나 댓글을 삭제하거나 계정을 탈퇴하는 경우가 많음.
    • 하지만 상대방이 이미 캡처를 해 두었다면, 삭제해도 의미가 없음.
    • 오히려 증거 인멸로 보일 수 있으며, 필요할 때 본인이 방어할 수 있는 자료까지 없애는 결과가 됨.

    2) 법적 절차를 모르고 무작정 겁먹음

    • 상대가 “너 명예훼손죄(혹은 모욕죄)로 고소할 거야!”라고 하면 대부분 겁을 먹고 합의를 해버림.
    • 하지만 실제로는 명예훼손죄가 아닌 경우도 많고, 무죄가 인정될 수도 있음.
    • 법적으로 명예훼손이 성립하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.

    3) 과도한 합의금 요구에 바로 응함

    • 명예훼손죄와 모욕죄는 형사처벌뿐만 아니라 민사소송(손해배상 청구)도 가능함.
    • 합의가 어려울 경우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지만, 대부분 1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음.
    • 피해자가 제시하는 합의금이 과도할 경우 신중하게 대응해야 함.

    ⚖️ 3. 명예훼손죄와 모욕죄가 인정될 경우 대처법

    ✅ 1) 고소가 들어왔을 때 즉시 변호사 상담

    • 법률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아야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음.
    • 특히 명예훼손죄의 경우 “공익적 목적”이 인정되면 무죄 가능성이 있음.

    ✅ 2) 증거자료 정리

    • 본인이 작성한 글이나 댓글의 원본을 보관하는 것이 중요함.
    • 대화의 맥락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(대화 내역, 게시물 전체 내용 등)를 정리해야 함.

    ✅ 3) 합의 여부 판단

    • 상대방과 합의를 할지, 법적으로 대응할지를 신중히 결정해야 함.
    • 합의금은 정해진 기준이 없으며, 피해자가 주장하는 피해 정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음.
    • 법적 대응을 잘 준비하면 무죄를 받을 수도 있음.

    🏆 4. 실제 사례 분석 (무죄 판결 사례)

    사례 1: 네이버 카페 제품 후기 사건

    • 네이버 카페에 제품 후기를 작성했는데, 업체에서 명예훼손죄와 업무방해죄, 모욕죄로 고소한 사건.
    • 결과: 명예훼손과 업무방해는 무혐의, 모욕죄는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됨.
    • 이유:
    • 일부 표현이 감정적이었지만, 전체적으로 공익적 목적이 인정됨.
    • 2년간 해당 업체를 이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후기였음.
    • 다른 회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의도가 인정되어 무혐의 처분됨.

    사례 2: 선거 후보자 관련 단톡방 공유 사건

    • 한 사람이 선거 후보자 관련 신문기사를 단체 채팅방에 공유함.
    • 후보자가 “허위 사실 유포 및 후보자 비방”을 이유로 고소함.
    • 결과: 법원에서 항소심 무죄 판결, 최종적으로 무죄 확정됨.
    • 이유:
    • 신문 기사 자체를 허위라고 인식하기 어려웠음.
    • 기사 내용을 공익적 목적으로 공유한 것이므로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음.

    📝 5. 명예훼손과 모욕죄의 공소시효 및 고소 기간

    1) 모욕죄의 고소 기간

    • 6개월 내에만 고소 가능
    •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법적으로 문제 삼을 수 없음.

    2) 명예훼손죄의 고소 기간

    • 공소시효가 지나지 않았다면 언제든지 고소 가능
    • 즉, 시간이 지나도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음.

    🎯 6. 결론: 명예훼손죄 & 모욕죄 대응 전략

    1) 내가 한 발언이 명예훼손 또는 모욕에 해당하는지 먼저 판단

    • 단순한 의견 표명인지, 사실을 적시한 것인지 구분할 것.
    • 공익적 목적이 인정될 여지가 있는지 확인할 것.

    2) 고소를 당했을 경우 증거 삭제는 신중해야 함

    • 삭제해도 상대방이 증거를 확보하고 있으면 소용없음.
    • 포렌식 조사가 진행될 수도 있음.

    3) 변호사 상담 후 대응 전략을 수립

    • 합의가 필요할지, 무죄 주장을 할지를 판단해야 함.
    • 형사처벌뿐만 아니라 민사소송 가능성까지 고려할 것.

    4) 합의금은 신중하게 협상할 것

    • 합의금의 기준은 법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님.
    • 상대방이 터무니없는 금액을 요구할 경우 변호사를 통해 조정하는 것이 유리함.

    5) 공소시효 및 고소 기간을 숙지할 것

    • 모욕죄는 6개월 내에만 고소 가능.
    • 명예훼손죄는 공소시효 내라면 언제든지 고소 가능.

Designed by Tistory.